보조기억장치 개요
실행할 프로그램의 명령이나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(CPU)가 직접 읽거나 기록하기위해 사용되는 기억장치를 주기억장치라고 한다. 컴퓨터시스템에는 주기억장치 뿐만아니라 주기억장치를 보조할 기억장치인 보조기억장치가 필요로 한다.
1. 매우큰 용량의 기억장치가 필요 : 응용프로그램, 풍부한 컨텐츠 활용하도록 발전하였다 -> 주기억장치는 용량이 작아 보조할 별도의 보조기억장치가 필요로 한다.
2. 비휘발성 기억장치 필요 : DRAM은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만 데이터를 기억할수있다. 하지만 전원이 꺼지면 기억된 내용이 모두 사라지는 휘발성메모리이다. 보조기억장치는 비휘발성 메모리 이므로 필요성 충족.
지역성(Locality) : 프로그램의 실행형태가 기본적으로 순차적인 형태, 사용중인 일정 영역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특성
주기억장치 는 보조기억장치에비해 빠른 기억장치이지만 CPU의 동작속도에 비하면 매우느린 장치이다.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캐시메모리(Cache Memory)를 두어 컴퓨터의 성능을 향상시켜준다.

데이터가 저장되는 매체
1. 순차적 접근 : 자기테이프 종류
2. 임의적(직접 접근) : 자기디스크, 광디스크, 플래시메모리
- 자기테이프 기억장치
자기테이프 장치는 대표적인 순차접근 기억장이다.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읽혀질 때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장치이다. 주로 자료 백업(Back up ) 용으로 보관하기위한 보조매체로 사용되고 있다.
- 자기디스크 기억장치
매우짧은 시간에 데이터를 검색할수 있는 저장방법, 1950년 호텔예약과 같은 시스템에 컴퓨터시스템을 적용시키기 위해 DASD( Direct Access Storage Device) 장치 개발
종류
1. 플로피디스크 : 흔히 디스켓이라 부르며, 1970~1990년 까지 보조기억장치로 활용되었다.
2. 하드디스크 : 모든컴퓨터 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저장장치, 많은양의 데이터를 저장할수 있기때문에 대용량 저장장치라고도 한다.
오늘날의 하드디스크는 대용량을 저장할수있는 디스크 어레이 등 형태로 크게 나눌수 있다.디스크 어레이를 사용하면 만일 발생할수있는 장애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수 있어 저장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. 현재는 값이 싸다는 의미보다는 독립적(Independent)라는 단어의 약자로 언급되고 있다.
3. 광디스크 : 광디스크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생방식으로, 수명이 길고, 한장의 마스터를 만들어 이를 인쇄하듯 찍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자기디스크 보다 적은 비용으로 대량생산하여 배포할수 있다.
광디스크 종류
○ ROM 형태 : 제작될 초기에 데이터를 한번 저장가능한형태
○ WORM형태 : 디스크 구입후 한번에 한해 특별한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할수 있는 광학기억매체로
은행에서 매일매일의 거래기록을 읽을수는 있어도 변경할수없도록 WORM형에 기록하여 보관한다.
○ RW형태 : 디스크를 반복적으로 쓰고 지울수 있어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등 자료관리에 효율적인 매체
광디스크 데이터 저장
CAV(Constant Angular Velocity) : 저장위치로 빠르게 직접접근하는것이 중요한 형태고 디스크가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하는 형태
CLV(Constant Linear Velocity) :단위 면적당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한 방식 나선형을 형성하고있다.
5. 반도체 기억장치
- USB 플래시 드라이브
USB플래시 드라이브는 USB와 플래시 메모리라는 두가지 요소가 결합한 보조기억장치이다. 다양한 주변기기를 컴퓨터에 연결하기위해 1990년대 개발된산업표준으로 직렬통신방식을 채택하였다.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그대로 보존되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이다.
SLC방식 : 플래시 메모리 1개의 기억소자당 1개의 비트의 데이터를 저장 , 안정성이높고 데이터속도가 빠르나 가격이 비싼 단점을 가지고 있다.
MLC방식 : 기억소자당 2비트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SLC방식보다 안정성, 속도는 낮으나 단가가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.
USB플래시 메모리는 편리한 장점을가지고 있지만 중요한 데이터 쉽게 해킹, 도난등 보안상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.
-SSD
외관이나 설치방법은 기존 하드디스크와 유사하지만 내부적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.
아래 SSD 는 아래 2가지 저장 방식이 존재한다.
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
휘발성 메모리 DRAM과 배터리를 사용하여 컴퓨터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저장 방식
-버퍼캐시
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는것은 주기억장치에서 읽는것보다 매우느리다. 보조기억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버퍼캐시를 두어 속도차이를 줄이는 장치이다.
디스크에서 한번읽은 정보를 디스크보다 접근속도가 매우빠른 주기억장치의 특정장소에 보관하고 필요할 경우 주기억장치에 읽는 방식이다.
| 디바이스 기술 - SoC/MEMS (0) | 2019.05.03 |
|---|---|
| 소프트웨어와 정보시스템 (31) | 2019.04.27 |
| 데이터의 입력과 점검 (31) | 2019.04.25 |
|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핵심 기술과 전망 (0) | 2019.04.18 |
| 컴퓨터의 입출력 (0) | 2019.04.17 |
| C언어 배열과 포인터 -1 (0) | 2019.04.10 |